1. AI 시대, 요동치는 시장의 변화
지난 20년 동안 한국 IT 산업의 대표 주자는 네이버와 카카오였습니다. 하지만 AI 시대의 도래로 이 두 기업이 과거와 같은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 카카오의 현 상황과 AI 시대의 새로운 기회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2. 네이버와 카카오, 과거의 성공을 돌아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인터넷과 모바일 시대의 승자였습니다. 네이버는 포털 서비스로, 카카오는 메신저 서비스로 한국 시장을 장악했습니다.
하지만 이 두 기업도 처음부터 강자가 아니었습니다. 네이버가 처음 등장했을 때, 삼성, LG, KT 등 대기업들도 비슷한 인터넷 포털 사업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습니다. 결국 살아남은 것은 네이버 하나였죠.
카카오톡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될 때, SKT와 KT는 유료 문자 서비스에 의존하며 변화에 대응하지 못했습니다. 반면, 카카오는 무료 메신저로 빠르게 자리를 잡으며 대한민국 국민 메신저가 되었습니다.
3. AI 시대, 급격한 환경의 변화
하지만 AI 시대는 상황이 다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쌓아온 비즈니스 모델이 광고 기반이기 때문입니다. 네이버와 구글 모두 검색 기반 광고 수익이 전체 매출의 30~50%를 차지합니다.
문제는 챗GPT 같은 AI 서비스는 사용자가 문서를 클릭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질문을 하면 AI가 직접 답변을 제공하니 검색 결과를 클릭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광고 수익 모델이 붕괴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과거 문자 메시지 시대에 유료 문자 서비스가 카카오톡으로 인해 무너진 것과 같은 구조입니다. 기존 강자들이 자신의 수익을 잃을까 두려워 쉽게 AI 전환을 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4. 새로운 AI 시대를 이끌 강자는 누구
과거 사례를 보면 인터넷 시대에는 네이버, 스마트폰 시대에는 카카오가 승자가 되었듯, AI 시대에도 새로운 강자가 등장할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리더십입니다. 애플이 스티브 잡스 복귀 후 부활했듯,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운 CEO 사티아 나델라로 AI 시대를 선도했듯,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둘째, 캡티브 마켓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오피스로, 애플이 맥킨토시 사용자 기반으로 버텼던 것처럼, 기존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통해 버티면서 AI로 전환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5. AI 시대, 돈을 버는 5가지 비즈니스 모델
많은 사람들이 AI 서비스는 돈을 어떻게 버는지 궁금해합니다. 현재와 미래의 AI 수익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는 구독 모델(Subscription)입니다. 이미 ChatGPT Plus 같은 유료 서비스가 있으며, 월 20달러 또는 더 비싼 고급형 서비스도 존재합니다.
두 번째는 API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입니다. AI 기술을 기업들이 API로 빌려 쓰는 방식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OpenAI 서비스가 대표적입니다. 기업들이 AI 기능을 자사 제품에 붙일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B2B 시장에서 매우 큰 수익이 기대됩니다.
세 번째는 광고 모델입니다. AI가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하면서 관련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하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휴대폰 추천해줘"라고 하면, AI가 광고 순으로 추천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는 브로커리지(중개) 모델입니다. AI가 단순 추천을 넘어서 실제 상품 구매까지 중개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I가 삼성카드 할인 혜택까지 안내하면서 바로 카드 발급과 구매까지 연결하는 형태입니다. 부동산, 여행, 보험, 금융, 쇼핑 등 모든 중개 서비스가 AI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는 AI 거래 시장(마켓플레이스)입니다. 개인이나 기업이 직접 AI를 개발하고, 이를 AI 플랫폼에서 사고파는 시대가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전문 분야에 특화된 AI를 개발한 개인이 이를 팔고, 다른 기업이나 개인이 구매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6. AI 시대, 일자리 문제와 양극화
AI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질까에 대한 걱정이 많습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신기술 등장 때마다 새로운 일자리도 함께 생겼습니다.
중요한 것은 일자리 문제보다는 양극화 문제입니다. AI 기술과 데이터를 소유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소득 격차가 심화될 수 있습니다.
AI 시대에는 새로운 노동도 필요합니다. 특히 육체노동, 현장 노동 등은 당분간 AI가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인간의 몫으로 남습니다.
7. AI 시대를 대비하는 개인과 기업의 전략
결국 AI 시대에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AI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해야 합니다. 단순히 기존 서비스에 AI를 얹는 것이 아니라, AI가 중심이 되는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
둘째, AI를 직접 키우고 개발하는 개인의 시대가 올 것입니다. 기업뿐 아니라 개인도 AI 에이전트를 만들어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셋째, 리더십과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I 전환을 두려워하지 않는 강력한 리더십과, 이를 유지할 수 있는 탄탄한 사용자 기반이 있어야 합니다.
넷째, 국가적 정책도 중요합니다. AI로 인한 양극화를 방지하기 위해 AI 세금 부과, 소득 재분배, 보편적 복지 강화 같은 정책이 필요합니다.
8. 결론: AI 시대, 위기 속 기회를 잡아야
AI 시대는 기존 강자에게는 위기, 새로운 도전자에게는 기회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살아남기 위해선 과거 성공 방정식을 넘어서는 혁신이 필요합니다.
또한 개인도 AI 시대에 맞춰 새로운 역량을 준비해야 합니다. AI가 만드는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때입니다.
AI 시대, 당신의 준비가 미래의 성패를 가를 것입니다.